윈도우10 캡처 및 스케치 자세한 사용법
- IT정보화 / 윈도우즈
- 2020. 5. 2.
반응형
윈도우10 캡처 및 스케치
안녕하세요. 쉬운쌤입니다. 별도의 캡처프로그램 설치 없이 윈도우10에서 화면을 캡처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윈도우7에부터 사용하던 캡처도구입니다. 두번째는 윈도우10부터 사용가능한 캡처 및 스케치입니다.
윈도우10을 사용하지만 캡처및스케치도구 존재자체를 모르는 분들도 정말 많습니다. 윈도우10의 새로운 캡처및스케치가 더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윈도우10사용자는 캡처 및 스케치를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두가지 중에서 캡처 및 스케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램(앱) 실행하는 방법
방법1) [시작]버튼 또는 작업표시줄 검색아이콘을 클릭해서 '캡처 및 스케치' 앱 열기
방법2) 작업표시줄에 아이콘을 만들어 두고, 필요할때마다 실행
방법3) 단축키 이용(추천) - 캡처하고 싶은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윈도우 로고키+Shift+S 를 누르면 누릅니다.
이 중 3번 방법으로 해보겠습니다.
캡처 기능 실행 - 단축키
1. 캡처하고 싶은 부분을 화면에 보이게합니다.
2. 키보드의 윈도우 로고키+Shift+S 를 누릅니다. → 결과) 모니터 최상단 가운데에 작게 챕처창이 뜹니다.
캡처 하는 방법
종류
- 스크롤 캡처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사각형 캡처
1. 캡처하고 싶은 부분을 화면에 보이게합니다.
2. 키보드의 윈도우 로고키+Shift+S 를 누릅니다.
3. 4가지 중 원하는 캡처 유형을 클릭합니다.
4. 마우스로 캡처할 영역을 드래그하여 영역을 선택합니다.
① 사각형 - 원하는 영역을 드래그
② 자유형 -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영역을 지정합니다.
③ 창 캡처 - 마우스로 캡처를 원하는 창을 클릭합니다.
④ 전체화면 캡처 - 전체화면 캡처를 누르는 동시에 그냥 바로 캡처됩니다.
5. 캡처하는 동시에 자동으로 복사가 됩니다. 원하는 프로그램(한글, 엑셀, 파워포인트, 포토샵 등)에 붙여넣기하면 됩니다.
캡처한 내용 마킹과 이미지로 저장하기
캡처한 후 이미지에 마킹을 하거나, 저장하고자 할때 하는 방법입니다.
1. 캡처한 후 오른쪽 아래에 클립보드에 저장함을 부분을 누르거나,
또는, 작업표시줄 오른쪽 맨아래에 [새 알림]을 클릭합니다.
2. 화면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메뉴더보기를 누르면 인쇄를 할 수 있습니다.
3. 마킹하기
① 볼펜, 연필, 형광펜을 클릭하면 색과 굵기를 선택합니다.
② 마우스로 원하는 대로 드래그하여 마킹합니다.
③ 눈금자를 이용하여 선 일직선으로 그리기
눈금자를 클릭하여 표시합니다. 눈금자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에 놓고, 펜/연필/형광펜으로 그리면 일직선이 그려집니다.
* 눈금자 숨기기 - 눈금자를 누르고, 눈금자를 다시한번 눌러서 눈금자를 숨김니다.
3. 마킹한 것 지우기
지우개를 클릭하고, 마우스로 지울 부분을 살짤 드래그(클릭X)하면 지워집니다.
4. 자르기
자르기를 누릅니다. 흰점에서 드래그하여 남길 영역을 선택하고, 오른쪽 상단의 체크를 눌러 완료합니다.
5. 저장하기 - 저장할 위치를 선택하고, 파일이름 입력, 파일형식을 선택합니다.(png, jpg, gif 가능). 마지막으로 [저장]을 눌러서 완료합니다.
영상설명 - 쉬운쌤 유튜브
영상에서 더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사용법 목록
7. 최근 활동 기록 삭제 및 활동 기록 중지하기(작업표시줄 검색에 표시되는)
5. 이모티콘(이모지) 사용하는 2가지 방법 - 단축키, 터치키보드
4. 윈도우 하나의 창만 남기고 최소화 하는 법(윈도우10, 7 가능)
3. 모든창을 한번에 닫고 바탕화면 보기 (윈도우10, 7 가능)
1. 윈도우10 바탕화면 구성 및 용어, 작업표시줄 용어, 시작메뉴 용어
728x90
'IT정보화 > 윈도우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탕화면에 내PC, 휴지통 등 아이콘 표시하기 - 윈도우 10 (0) | 2020.09.01 |
---|---|
작업표시줄에 파일 탐색기가 없어졌을때 간단한 해결 방법 - 윈도우10, 7 (0) | 2020.08.29 |
윈도우10 - 최근 활동 기록 삭제 및 활동 기록 중지하기 (작업표시줄 검색에 표시되는) (0) | 2020.03.26 |
윈도우10 -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기 (0) | 2020.03.26 |
윈도우10 - 이모티콘 (이모지) 사용하는 2가지 방법 - 단축키, 터치키보드 (0) | 202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