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사진전송 시 화질 설정 방법 - 원본 화질, 일반화질
- IT정보화/앱 활용
- 2024. 7. 21.
쉬운쌤입니다. 카카오톡에서 사진을 공유할 때 화질이 저하되는 되는 문제를 경험한 적이 있으신가요? 카톡은 사진을 전송할 때 저화질, 일반 및 원본화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진의 용량과 전송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화질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카카오톡에서 사진과 영상을 전송할 때 화질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화질별 특징 및 선택 팁
1. 일반화질
기본 설정 값으로, 적절한 용량과 화질의 균형을 맞춘 옵션입니다. 빠른 전송 속도와 적당한 화질로 일상적인 사진 공유시 적합합니다.
2. 원본 화질
촬영된 원본 파일 그대로 전송하는 설정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원본 그대로 사진을 공유해야 할 때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여행이나 가족사진 등 중요한 사진이나 작은 글자가 있는 문서, 고해상도, 디테일이 중요한 사진 등은 원본 화질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원본 사진일 때가 사진의 활용성이 높습니다. 크게 확대해도 잘 보이며, 사진 인화 시에도 유리합니다. 하지만, 파일의 크기가 매우 크며, 전송 속도가 느리고, 데이터 사용량도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일반/원본 화질 비교 (예시)
일반 화질 | 원본 화질 | |
사진 크기 | 1050 x 1400 px | 3000 x 4000 px |
사진 용량 | 583 KB | 2.71 MB |
카카오톡 사진 전송 화질 설정 방법
방법 1) 설정에서 미리 선택
1. 카카오톡을 열고, 화면 맨 하단의 [... 더보기]를 터치한 후, 톱니모양의 [설정]을 터치합니다.
2. [채팅]을 선택합니다.
3. [사진 화질]을 터치하여 화질을 선택한 후, 바깥쪽을 터치하여 빠져나옵니다.
원한다면, [동영상 화질]도 같은 방법으로 화질을 선택합니다. 단, 동영상은 '일반'과 '고화질'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방법 2) 사진을 전송하면서 화질 선택 ★
사진을 전송하면서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단, 이 기능은 카톡 내에서 사진 전송 시에만 가능하며, 다른 앱(예 : 갤러리)의 공유 기능으로 전송 시 적용되지 않습니다.
1. 채팅방에서 '메시지 입력창'의 [+]를 터치합니다.
2. [앨범]을 터치합니다.
3. 전송할 사진을 선택하고, 오른쪽 하단의 ... 을 터치합니다.
4. 화질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5. [전송] 버튼을 눌러 사진을 전송합니다.
화질 설정 시 주의 사항
1. '화질' 설정은 일회성이 아님
화질 설정은 일회성이 아닙니다. 한 번 '원본'으로 설정하면 이후에도 계속 원본 화질로 전송됩니다. 따라서, 계속 원본으로 전송할게 아니라면, 다음에 전송할 때는 다시 '일반 화질'로 설정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2. 데이터 사용량 및 전송 시간 증가
화질을 원본으로 설정하면 데이터 사용량이 증가하며, 사진을 전송 시간이 더 길어집니다.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가 아닌 경우, WiFi 연결 상태에서 전송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상대방이 사진을 다운로드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리고, 데이터 사용량도 증가하므로, 꼭 필요할 때에만 '원본' 화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 폰으로 친구의 인생사진을 찍어주셨나요? 또는 업무상 고화질의 사진이 필요한 경우, 미리 상대방에게 원본 화질로 보낼지 물어보는 센스도 필요합니다.
유용한 기능이므로 잘 기억해 두셨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기길 바랍니다.
'IT정보화 > 앱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동영상 편집하여 전송하기 - 자르기, 회전, 필터 효과, 음소거 (0) | 2024.07.25 |
---|---|
네이버 모바일 앱에서 빠르게 아이디 전환, 아이디 추가, 삭제하기 (0) | 2024.07.11 |
안랩 v3 "클라우드 자동분석 요청" 기능 비활성화(차단)하기, 알림 끄기 (0) | 2024.05.27 |
안랩 무료 백신 V3 Lite 광고 차단, 클라우드 자동 분석 요청 알림 끄기 (0) | 2024.05.26 |
[삼성 갤럭시] 갤러리 강력 추천 기능 - 많은 사진 중에 좋아하는 사진만 빠르게 골라보기 - 사진 즐겨찾기/북마크 (0)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