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밤 9시 뉴스를 보는데 '톺아보기' 글자가 보이는데, 순간 뭐야뭐야 오타야? 를 외치며, 사전 검색을 해봤습니다. 실제로 국어사전에 등록된 말이더라구요. 저의 어휘력에 새삼 부족함을 느낍니다. 톺아보다, 톺아보기 뜻 타동사이며, '톱아보다'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톺아보다'가 표준어라고 합니다.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에서는 아래와 같이 풀이되어 있습니다. (~을) 샅샅이 톺아 나가면서 살피다. '톺아'가 핵심인데, 위와 같이 나와 있어 정확히 이해하기엔 좀 부족한 느낌입니다. 출처)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 나와있는게 이해가 확실히 되네요.. (사람이 무엇을) 샅샅이 훑어 가며 살피다. 예) 사람을 아래위로 톺아보지 마라. 여기에 나온 '훑어 보다' 는.. 1. (~을) 한쪽 끝에서 다른 끝..
TV프로그램 국가수 2월 10일 방송의 신조어퀴즈 대결에 나온 신조어입니다. 모두 '줄임말'이네요. 많이 사용되는 것들도 있고, 처음 들어보는 것도 있네요. 아래는 퀴즈에 나온 순서대로 적어봤습니다. 🌈 주불 - 주소 불러 🌈 내또출 - 내일 또 출근 🌈 점메추 - 점심 메뉴 추천 🌈 점매추해 - 점심 메뉴 추천 해주세요 🌈 빠태 - 빠른 태세 전환 🌈 당모치 - 당연히 모든 치킨은 옳다! 🧡💛🧡💛🧡💛🧡💛 🌈 갑통아 - 갑자기 통장 잔고 보고, 아르바이트 🌈 갑통알 - 갑자기 통장 잔고 보고, 알바 🌈 오저치고 - 오늘 저녁에 치킨 고(go) 🌈 만반잘 - 만나서 반갑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마기꾼 뜻 마기꾼은 오랜 기간 마스크를 써온 팬데믹 시대에 생겨난 신조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기꾼? '마스크..
마기꾼은 오랜 기간 마스크를 써온 팬데믹 시대에 생겨난 신조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기꾼? '마스크'와 '사기꾼'이 합한 단어입니다. 마기꾼 뜻 마스크를 써서 눈만 보이던 얼굴과 마스크를 벗어서 전체 얼굴이 보였을 때 상상, 예상, 기대한 얼굴과 차이가 너무 큰 사람을 사기꾼에 빗대어 '마기꾼'이라고 합니다. 유튜브나 SNS에 '마기꾼'관련 재치있고, 즐거움으로 승화시킨 재미있는 콘텐츠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 마기꾼 콘테스트 세계적으로 사회현상과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 생기는 용어가 있고, 원래 있었지만 존재감 없다가 유명해지기도하고, 온라인으로 메시지를 주소받는게 일상이 되다보니, '줄임말'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 디지털 장의사, mz세대, 미닝 아웃, 인싸, 욜로, 캥거루족, ..
아래와 같이 보통 똑같이 입는 것을 커플룩이라고 하며, 부담스럽다는 분들이 늘어나면서, 커플룩의 변형인 시밀러룩이 몇년전부터 인기를 끌고 대세가 되었습니다. 시밀러룩의 뜻 시밀러(similar)는 비슷한, 유사한, 닮은 룩(look)은 모습, 외양이라는 뜻입니다. 즉, 시밀러룩은 통일감은 주되, 똑같지는 않고, 비슷하게 차려입은 옷차림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옷은 다르지만, 색상, 무늬, 옷감 중 일부분만 같게해서 통일감을 주는 비슷하지만 다른 느낌의 주는 룩입니다. 반대로 디자인은 같지만, 색상, 무늬, 옷감 중 일부분을 다르게 할 수도 있습니다. 악세사리, 신발, 모자 등의 아이템을 활용해서 연출할 수 있습니다. 많이 비슷할수도, 옷은 다르지만 분위기만 비슷한 것도 모두 시밀러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로남불, 아시타비 뜻 "같은 일도 내가 하면 무조건 옳고, 남이 하면 틀렸다." 라는 뜻으로 같은 일인데 내가 잘못했을때에는 외면하면서 합리화, 정당시 하고, 남의 잘못만 지적하고 비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위선적이고, 이중적인 행태를 꼬집는 표현입니다. 내로남불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분륜'의 줄임말로 유명한 신조어입니다. 사자성어라고 잘못 알고 계신 분들도 많습니다. 아시타비(我是他非) 我(나 아) 是(옳을 시) 他(다를 타) 非(아닐 비, 비난할 비) '내로남불'을 한자 사자성어로 대체한 단어가 '아시타비(我是他非)'로 이 또한 신조어입니다. → 2020년 대학 교수들(906명, 교수신문 설문)이 올해의 한국사회를 의미하는 사자성어로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신조어, 유행어 알아두면 유용..
미닝 아웃이란 소비 트렌드의 하나로 신념을 뜻하는 ‘미닝(meaning)’과 벽장에서 나온다는 뜻의 ‘커밍아웃(coming out)’이 결합된 단어라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의 대체 단어는 '소신 소비'입니다. 정치/사회/문화적 신념과 가치관을 소비행위 통해서 표출하는 소신 있는 가치 소비를 뜻합니다. 따라서 더 많은 돈을 지불하고, 조금 불편하더라도, 신념에 따른 소비를 합니다. 이러한 사람들을 '미닝아웃족'이라고 하며, 보통 SNS 등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해 표현과 공유를 하기 때문에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mz세대가 주도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 환경과 자원순환을 생각한 소비 - 생분해 가능한 용기나 물품 구매 - 친환경 물품 구매(예 : 대나무 칫솔) - 재활용한 물품이나 재활용 가능한 물품 구매 ..
코로나19로 새로운 신조어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대부분 분들이 코로나 스트레스를 겪으실 텐데요. 관련 용어와 상담방법을 소개합니다. 코로나 블루 - 코로나19’와 ‘우울감(blue)’이 합쳐진 신조어입니다. -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되면서 감염의 불안감과 두려움, 활동제약으로 인한 답답함과 고립감 등 일상에 닥친 예상치 못한 변화로 생긴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을 뜻합니다. - 국립국어원 우리말 대체어는 '코로나 우울'입니다. 코로나 레드 - 코로나 블루가 더 진전되고 악화된 상태로 우울의 감정이 분노와 짜증으로 폭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코로나 블랙 - 코로나로 모든 것이 암울해지고 암담하다고 느끼는 상태입니다. 심리 상담 아래는 보건복지부 발표 자료에서 더 자세한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
밀레니얼 세대 - 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세대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경계 세대로 두가지 모두를 경험한 세대입니다. Z세대 -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세대로 디지털환경에 익숙한 세대입니다. mz세대 -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를 합쳐서 통칭해서 부르는 말입니다. mz세대의 특징 인터넷과 디지털 콘텐츠 등의 디지털 환경과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세대입니다. - 최신 트렌드를 주도하고 확산시킬 세대입니다. 따라서 최근 기업의 마케팅대상으로 중요 타켓층이라 자주 언급되기도 합니다. 예) 네이버 뉴스 - 굽네치킨, 스낵컬쳐 콘텐츠로 MZ세대와 소통 강화, AK플라자 "분당점 1층 MZ세대 겨냥해 탈바꿈" - 변화를 추구하며 자유롭습니다. 따라서, 소비스타일/생활/표현에서 남의 시..